서울시는 올해 1월1일 기준으로 조사한 87만 3412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습니다. 올 공시지가는 한 해 전보다 11.54% 상승했는데 이는 지난해와 같은 상승률로, 최근 10년(2013∼2022년)을 놓고 보면 2019년(12.35% 상승)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등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개별공시지가에 대해 이의가 있다면, 4월 29일부터 5월 30일까지 일사편리 부동산 통합민원을 이용하거나, 자치구 및 동 주민센터에 서면·우편·팩스 등을 통해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이의신청 토지에 대해선 토지특성 등을 재조사한 뒤, 감정평가사의 검증과 자치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를 6월24일 조정공시 할 예정입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성동구로 1년 전보다 14.57% 올랐습니다. 뒤를 이어 영등포구와 강남구가 각각 13.62%로, 서초구(13.39%), 송파구(12.75%), 금천구(11.60%) 차례였습니다.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곳은 2004년부터 19년째 최고가를 이어온 중구 충무로1가 24-2번지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이었습니다. 지난해(㎡당 2억 650만원)보다 8.5% 내렸지만 ㎡당 공시지가는 여전히 1억8900만원이나 됐습니다.
2022.05.03 - [STORY] - 월별로 가기 좋은 추천 해외여행지
2022.04.28 - [STORY] - 콘크리트뷰 아파트가 적법하게 지어질 수 있는 이유
2022.04.20 - [STORY] - 최근 오사카 집값 근황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련 스파이들의 미국 붕괴 계획 (0) | 2022.05.03 |
---|---|
성시경이 추천하는 서울 맛집 (1) | 2022.05.03 |
월별로 가기 좋은 추천 해외여행지 (1) | 2022.05.03 |
1982년도에 일본에서 나온 TV 손목시계 (0) | 2022.05.02 |
술잘알 의사가 알려주는 덜 취하는 꿀팁 (0)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