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Y

마라톤 1000번 이상 뛴 사람들의 무릎 상태는 어떨까?

by storywriter 2022. 5. 4.
반응형

 

'달리는 사람의 무릎'이라는 말이 있습니다.달리기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무릎 통증을 말합니다. 달리기를 할 때는 우리 몸의 3~4배의 무게가 무릎에 실립니다. 무리하게 뛰거나 달리다가 자세를 잃으면 하중이 무릎에 충격을 주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무릎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별 질환을 소개합니다.

 



장 인대 증후군 - '장경인대'는 골반에서 시작해 무릎 아래 경골까지 연결되는 긴 인대로 무릎과 허벅지 뼈를 이어주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장골 인대는 열린 무릎 위치를 유지하고 무릎을 구부릴 때 무게를 지탱해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마라톤을 뛰면서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을 반복하면 이 긴 인대에서 튀어나온 대퇴골 외측면이라는 뼈와 무릎 바로 위 허벅지 뼈가 마찰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장 인대 증후군이라고 불립니다.

 


- 증상 : 타는 듯한 통증이 무릎 바깥쪽에서 발생합니다. 특히 무릎을 굽히고 펼 때 통증이 심하며 내리막길을 걸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무릎 주위에 염증이 생기면 붓거나 열이 나기도 하고 무릎에서 마찰음이 들리기도 합니다. 무릎을 30도 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무릎 바깥쪽을 누를 때 통증이 있다면 장인대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입니다. 무릎을 30도로 굽혔을 때 장경인대의 마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습니다.

- 치료 : 치료를 위해서는 장골 인대와 대퇴골 외부 손상 사이의 마찰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스트레칭과 역도 또한 필수적입니다. 달리기를 할 때 많이 사용하는 햄스트링, 대퇴근육, 긴 팔다리 근육 등이 달리기를 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트레칭을 통해 근력과 유연성을 길러줘야 합니다.

연골 연화 - 딱딱해야 할 무릎 연골이 부드러워지고 부드러워진다는 뜻입니다. 관절 내 뼈 끝을 감싸고 있는 연골은 뼈의 충격을 완화하고 마찰을 줄여 뼈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연골조직이 외상이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약해지고 갈라지고 벗겨지는 것을 연골연화증이라고 합니다. 

- 증상 : 무릎 앞쪽이 뻣뻣하게 아픕니다. 장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나면 통증이 나타나는데 이때 무릎이 뻣뻣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계단이나 언덕을 오를 때, 무릎에 체중을 실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운동을 할 때 무릎이 사각거리는 소리가 나기도 하고, 무릎이 붓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료: 연골 연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릎에 무리를 주는 등산이나 줄넘기 같은 운동과 쪼그려 앉는 자세는 피해야 합니다. 무릎 주위에 보호대를 착용하면 무릎 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칭이나 근력운동을 통해 허벅지의 앞뒤 근육을 모두 강화시켜주는 것이 필요합니다.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고 슬개골 관절의 형태에 이상이 있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2022.05.04 - [STORY] - 부산 국밥이 맛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022.05.04 - [STORY] - 92년을 살아보고 깨달은 것

2022.05.03 - [STORY] - 아무데서나 볼 수 없는 희귀한 사진들

2022.05.03 - [STORY] - 소련 스파이들의 미국 붕괴 계획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