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누군가가 고통스러워할 때조차 킥킥거리며 웃게 될까. 그리고 웃음은 왜 이렇게 전염성이 강할까요. 지난 몇 년간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노력해온 스콧 박사는 "웃음이 왜 가장 중요하면서도 오해받는 행동 중 하나인지"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스콧 교수의 초기 연구는 목소리에 집중됐습니다. 교수는 목소리가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목소리를 통해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 지위, 나고 자란 곳의 지리적 환경, 기분, 건강, 그리고 심지어 상호작용과 관련된 요소를 알아챌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먼저 성대모사에 관한 연구가 억양과 발화 등에 어떤 뇌 영역이 관여하는지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됐습니다. 사람의 '목소리 신원'에서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그러다가 스캇 교수는 아프리카 남서부 나미비아에서 연구를 진행하던 중 웃음이 가장 풍부한 음성 요소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문화권에 상관없이 분들은 표정을 바탕으로 상대의 두려움, 분노, 놀라움, 혐오, 슬픔, 기쁨 등 6가지 보편적인 감정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콧 교수는 목소리에 더 미묘한 정보가 담겨있는지 알아내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나미비아 원주민들과 영국인에게 서로의 목소리가 담긴 녹음본을 들려주고 보편적인 6가지 감정뿐만 아니라 안도감, 승리감, 만족감 등 어떤 감정이 느껴지는지 물어보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애기 키우는 사람들 존경스럽게 만드는 사진들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키우며 큰 보람을 느끼며 자신의 정체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깁니다. 물론 육아가 보람만 가져다 주는 건 아닙니다. 사실 많은 부모가 매일 스트레스와 싸우며
limegoldstar.tistory.com
두 집단 모두 웃음을 가장 쉽게 알아차렸습니다. "다른 긍정적인 감정들과 달리 웃음은 거의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었다"라는 게 교수의 설명입니다.
스콧 교수는 연구를 지속하면 할수록 웃음의 복잡함에 점점 더 매료됐습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 웃음은 사실 농담과 별로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타인이 던진 농담에 웃는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언제든 대화에서 가장 많이 웃는 사람은 바로 말을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대신 스콧 교수는 웃음을 "사회적인 감정"으로 바라본다고 했습니다. 단순히 '재미있다'라는 감정이 아니라 웃음은 사람들을 한데 엮어주고 유대감을 갖게 도와준다는 것입니다.
"사람들과 함께 웃을 때면 상대방에게 자신이 호감이 있거나, 상대의 생각에 동의하거나, 혹은 같은 팀이라는 걸 보여줄 수 있습니다. 웃음은 관계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2022.04.29 - [STORY] - 카페인 우울증을 아시나요?
2022.04.29 - [STORY] - 옛날 30대와 요즘 30대 외모 차이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사람들이 신이 있다고 믿은 이유 (0) | 2022.04.30 |
---|---|
암이 아내를 데려간 뒤 남겨진 남편과 아이들 (0) | 2022.04.30 |
카페인 우울증을 아시나요? (0) | 2022.04.29 |
옛날 30대와 요즘 30대 외모 차이 (0) | 2022.04.29 |
서른 넘은 수험생들 보세요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