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찰에서는 1년 내내 빼놓지 않고 예불을 올리는데 이때 필수적인 것인 반야심경과 천수경입니다. 이 중 반야심경은 경전을 260자로 요약한 일종의 압축된 경전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요, 불교의 중심 교리인 공(空)의 이치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반야심경에서 말하는 공은 어떤 것이든 고정되어 있지 않다고 했으며 오직 마음에 가림이 없으면 수행으로 지혜를 얻을 수 있다 설명되고 있습니다.
부처님의 수많은 경전 중에서 천수경과 함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애독하는 반야심경은 불경 중에서 가장 간결하면서 널리 알려진 일종의 대표 경전입니다. 본래 불교사상의 목표는 자기수양이며 기복신앙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의 불교는 기복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합니다.
불자가 득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먼저 절대적인 자신만의 수양이 있어야 하고 나중에 부처가 되는 것이니, 스님 중에는 구복신앙을 버리고 부처님의 참뜻을 이행하는 것은 오직 수행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사찰에 가면 인사말로 즐겨쓰는 ‘성불하십시오.’라는 말은 바로 불교사상을 압축하는 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22.05.24 - [STORY] - 저축액의 두배로 돌려주는 통장 7000명 모집
2022.05.23 - [STORY] - 한국에서 살면서 돈자랑하면 안되는 이유
반응형
그리드형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고 싶은 아픈 기억을 치유하는 방법 (0) | 2022.05.24 |
---|---|
구글 입사시험문제 (0) | 2022.05.24 |
저축액의 두배로 돌려주는 통장 7000명 모집 (0) | 2022.05.24 |
한국에서 살면서 돈자랑하면 안되는 이유 (1) | 2022.05.23 |
한국인들이 대만여행가면 꼭 먹는 필수 음식코스 (1) | 2022.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