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무장지대(DMZ) 내부에 민간인이 집단 거주하는 마을이 딱 두 곳 있는데 이곳은 군사분계선 남쪽 ‘자유의 마을’(대성동)과 북쪽 ‘평화의 마을’(기정동)입니다. 유엔군사령부(유엔사) 관할로, 출입증 관리와 이장 선출과 주민의 자격·의무 등을 담은 ‘525-2 대성동 민사행정’ 규정이 항구적 평화협정으로 대체될 때까지 국적을 불문하고 군인과 민간인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대성동 주민들은 지금도 밤 12시가 통금 시간입니다. 이들을 찾기 위해선 대한민국 장관이라도 유엔사 승인을 받아야 하며 대성동 주민들은 주민등록증과는 별도로 신분증을 받는데, 신분증 발급자는 유엔사 공동경비구역(JSA) 대대장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대부분 한국전쟁 이전부터 대성동 인근에서 살아온 토박이들이지만 정작 한국전쟁 당시에는 인민군들이 남하하는 모습을 보며 ‘무슨 일이 터졌구나’ 직감했을 뿐이랍니다. 휴전 이후로도 15년 넘게 잊혀진 존재였던 대성동 주민들이 한국 국적을 취득하게 된 것이 1969년 주민등록증을 처음 발급받으면서 부터라고 합니다.
1979년 현대식으로 정비된 북한 기정동 마을과, 흙벽과 나무 기둥이 허름했던 대성동 마을 사진을 극적으로 대비시켜 ‘판문점 지역 종합 개발 건의’가 당시 대통령 박정희의 재가를 받아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2022.05.06 - [STORY] - 한국인 최초로 미국에 갔다와서...
2022.05.05 - [STORY] - 현관에 두면 복 날아가는 물건 3가지
반응형
그리드형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사가 이상한 장난감을 사왔다 (0) | 2022.05.06 |
---|---|
숨은키 5cm를 찾아주는 스트레칭 (0) | 2022.05.06 |
한국인 최초로 미국에 갔다와서... (0) | 2022.05.06 |
현관에 두면 복 날아가는 물건 3가지 (0) | 2022.05.05 |
창문에서 강아지를 찾아보세요 (0) | 2022.05.05 |
댓글